■ 장례절차 및 순서

임종준비

※ 임종이 예견될 때에는 장례에 대해 대비하여야 합니다.
  • 임종준비1

    평소 이용하시던 병원이 있다면 병원 연락처, 병명 등을 메모해 둡니다.

    사전에 장례계획을 세우시고 프리드라이프 상조서비스가 필요하시다면 1544-9083을 통해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 임종준비2

    영정용 사진과 임종시 갈아 입히실 깨끗한 옷 등을 준비해 둡니다.

  • 임종준비3

    부고를 알릴 친지, 지인 및 단체 등의 연락처를 정리하여 둡니다.

  • 임종준비4

    유언이 있으면 침착하게 기록하거나 故人의 육성을 녹음해 둡니다.

    (유언을 기록할 경우에는 법률적 근거에 의하여 작성하여야 함.)

  • 장례준비1

    자택에서 운명하실 경우

    병원 응급실에서 故人 사망원인을 위하여 검안(檢案)하고 장례식장으로 이동하여 고인을 안치 후 상담한다. (의사가 없는 시설기관에서 사망할 경우에도 동일함.)

  • 장례준비2

    병원에서 운명하실 경우

    간호사에게 장례식장 사용여부를 통보하여 장례식장으로 이동하여 고인을 안치 후 상담한다.

  • 사망준비서류

    사망진단서

    병원에서 치료 중 사망하는 경우

  • 사망준비서류2

    사체검안서

    자택, 의사가 없는 시설기관, 외인사, 병원으로 이송중에 사망한 경우 등.

  • 사망준비서류3

    검시필증 및 사체인도서

    검사가 사망원인을 확인 후 발급되는 서류 (사망종류가 병사가 아닌 외인사, 기타 및 불상인 경우는 사망장소의 관할경찰서에 신고하여 경찰의 지시를 받아야 함.)

  • 운구
    장례 1일차
  • 안치
  • 빈소차림
  • 상주
    준비사항
  • 입관
    장례 2일차
  • 발인
    장례 3일차
  • 장지

■ 장례 1일차 장례

임종
(臨終)
마지막 숨이 넘어가는 것을 말하며 운명이라고도 합니다.
수시
(收屍)
자택에서 하는 경우 : 수시는 친척이나 친지 중 장례 범절에 밝은 분 또는 전문의전지도사(1544-9083)가 하도록 합니다.
눈을 곱게 감도록 쓸어 내리고 팔다리를 매만져 가지런히 합니다.
탈지면(솜)으로 코와 입을 막아 오수의 누출이나 미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손발이 굽어지지 않게 곧게 펴서 남자는 왼손을,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하여 배 위에 가지런히 올려 놓고 두 다리는 똑바로 모아 백지나 붕대로 묶습니다.
머리에서 발끝까지 흰 천이나 혹은 희고 깨끗한 홑이불로 덮습니다.
수시가 끝나면 병풍이나 검은색 휘장으로 가리고 그 앞에 고인의 (영정)사진을 모시고 양쪽에 촛불을 켜고 향을 피웁니다. 이때는 영정에 검은 리본을 두르지 않습니다.
고인을 모신 방은 차게 하며 방을 비우지 않도록 합니다.
발상
(發喪)
喪이 났음을 외부에 알리고 상례를 시작함을 말합니다.
유가족은 흰색이나 검정색의 검소한 옷으로 갈아입으며 귀걸이나 목걸이 등 치장을 하지 않습니다.
故人에 대해 애도하고 근신하며 큰소리로 곡하는 것은 삼가 합니다.
자택에서 하는 경우 근조(謹弔)라고 쓴 등을 대문 앞에 달아 놓거나 상중(喪中), 기중(忌中)이라 쓴 네모난 테두리의 종이를 대문이나 집 입구에 붙여 초상을 알린다.
장례일정/방 장례방법 : 가족장, 단체장, 기타 故人의 사회적 지위나 활동, 유언에 맞추어 정하고 혹은 종교적 예식으로 할 것인지의 여부 등을 결정합니다.
화장 및 매장 여부를 결정하고 화장일 경우 화장장의 예약관계, 매장일 경우 묘지 등을 결정합니다.
부고대상 및 방법(이메일, 신문, 전화, 문자, 전보, 서신 등)을 정합니다.
기타 장례식장과 장례방법 절차 등에 대해 상담 및 자문을 받습니다. (염습시간(입관), 제례절차, 장지관련(매 ·화장), 발인, 접대 식음료, 꽃 장식 ·조화주문,장례용품, 영구차예약 등)
부고 故人과 유족의 친지나 친척, 지인,단체(회사)등에 알립니다.
부고에는 장례식장 및 연락처, 장례기간(안치 ∼ 발인일)과 장지를 포함하도록 합니다.
프리드라이프에서는 부고문자 발신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 장례 2일차 장례

염습
(殮襲)
염습이란 시신을 정결하게 씻기어 수의를 입히는 것으로 입관 전에 행하는 절차입니다. 전통적으로 향나무나 쑥을 삶은 물로 시신을 정결하게 씻기었지만 근래에는 알콜 소독된 솜 또는 거즈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통적으로는 가정에서 하는 경우에는 남자의 염은 남자가, 여자의 염은 여자가 합니다.
반함
(飯含)
전통적으로는 故人의 입에 불린 생쌀을 버드나무 숟가락으로 좌, 우, 중앙에 각각 1숟가락씩 넣고, 동전이나 구멍이 뚫리지 않은 구슬을 넣어 주고 망자가 먼 저승길을 갈 때 쓸 식량과 노자돈이라 여겨 행하지만, 현대적 장례에서는 생략하는 추세입니다.
입관
(入棺)
시신을 관에 모실 때는 시신과 관 사이에 깨끗한 보공(백지나 마포, 삼베, 혹은 고인이 입던 옷 중에서 천연섬유의 옷을 골라 둘둘 말아) 넣어 시신이 움직이지 않도록 합니다. 故人의 유품 중 염주나 십자가, 성경 등을 넣어 드리기도 한다. 입관이 끝나면 관보를 덮고 명정을 발치 쪽에 세워 둡니다.
영좌설치
(靈座)
故人앞에 병풍이나 검은 휘장을 치고 그 앞에 영좌를 설치합니다.(전통 상례) 영좌란 故人의 사진이나 혼백을 모셔 놓는 자리로 사진(영정)에 검은 리본을 두룹니다. 제사위에 영정을 모시고 영정 양 옆으로 촛불을 밝힙니다. 제상앞에는 향탁을 놓고 향을 피웁니다. 영좌의 앞에 문상객을 맞을 자리를 마련하고 옆에 상주자리를 만듭니다.
성복
(成服)
성복(成服)이란 정식으로 상복을 입는다는 뜻으로 상주(상제 . 고인의 배우자, 직계비속)와 복인(服人. 고인의 8촌 이내의 친족)은 성복을 한다. 전통적인 상복으로 굴건제복(屈巾祭服)을 입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이를 양복으로 입는다. 상복을 올바로 입는 법으로

남자의 경우
01.한복 : 굴건 제복 및 흰색(검정색) 바지저고리에 흰(검정)두루마리를 입고 건을 쓴다.
02.양복 : 무늬 없는 흰 와이셔츠에 검정색 양복을 입고 검은 넥타이를 맨다.
03.검정색 양말과 구두를 신는다. (지역 및 가풍에 따라 두건을 쓰는 경우도 있다)
04.평상복 : 부득이한 경우 평상복을 입는데 이 때에는 점잖은 색( 감청색 계통 )으로 입고 왼쪽 가슴에 상장이나 흰 꽃을 달고 두건을 쓴다.

여자의 경우
흰색 치마저고리를 입고 흰색 버선(양말)과 흰색 고무신을 신습니다.( 종교적 및 기호에 따라 검정색 한복을 입는다. )
양장을 할 경우에는 검정색을 입으며 양말이나 구두도 검정색으로 통일하는 것이 좋습니다.
더운 여름이라도 긴 소매를 입고 속이 비치지 않는 단순한 디자인의 옷을 선택하며 액세서리를 달거나 치장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복인은 공히 검정색 천이나 삼베로 만든 완장이나 상장(리본)을 착용하는데 상복이 흰색이면 검정색, 상복이 검정색이면 흰색이 좋다. 상장(리본)대신 흰 꽃을 왼쪽 가슴에 달아도 됩니다.
상복을 입는 기간은 장일까지 하되 상제의 상장(리본)은 탈상까지 합니다.
문상
(問喪)
성복이 끝나면 문상을 받습니다.
상주 및 유족은 근신하고 애도하는 마음으로 영좌가 마련되어 있는 방에서 문상객을 맞으며, 문상객이 들어오면 일어나 곡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습입니다.
상주는 죄인이므로 말을 해서는 안 된다는 전통의식에서 문상객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하지만, 간단히 고마움을 표하는 것도 좋습니다. 상주는 영좌를 모신 자리를 지키는 것이 우선이므로 문상객을 일일이 전송하지 않아도 됩니다.

■ 장례 3일차 장례

발인
(發靷)
영구가 집(장례식장)을 떠나는 절차이다. 관을 이동할 때는 항상 머리 쪽이(종교적 차이가 있음) 먼저 나가야 한다.
※ 천주교는 하반신부터 나감

*종교의식
일반적 : 발인제 (발인에 앞서 간단한 제물을 차리고 제사를 올리는 의식)
기독교 : 발인예배
천주교 : 출관예절 → 발인미사
영결식
(永訣)
故人의 신분에 따라 가족장, 단체장, 사회장, 종교행사 등으로 하는데 단체장이나 사회장의 경우 장의위원회가 구성되어 주재합니다.
(종교행사일 경우 그 형식에 따릅니다.)
운구
(運柩)
발인제가 끝난 후 영구를 장지까지 영구차나 상여로 운반하는 절차.
영구차를 이용할 경우에는 영정, 棺(명정), 상주 및 유족, 문상객의 순으로 승차하고,
상여의 경우에는 영정, 명정, 영구(상여)가 앞서고 상주가 따르며 문상객이 따릅니다.
하관
(下棺)
하관이란 장지에서 영구를 광중(壙中)에 넣는 것을 말합니다.
하관 때에는 상주와 복인이 참여하되 哭은 하지 않습니다.
관을 수평과 좌향(坐向)을 맞추어 반듯하게 내려 놓고 명정을 관 위에 덮습니다.
횡대를 가로 걸친 후 상주는 흙(取土)을 棺 위에 세번 뿌립니다.
(횡대 사용은 지역별 및 家風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성분 성분 및 봉분
평토(平土) : 취토(取土)가 끝나면 석회와 흙을 섞어 관을 덮는 행위.
봉분(封墳) : 흙을 둥글게 쌓아 올려 잔디를 입힌다.
지석(誌石) : 봉분이 끝나면 지문(誌文)을 적은 지석(誌石)을묘의 오른쪽 아래에 묻는 행위
봉분이 유실되더라도 누구의 묘인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

위령제 및 성분제
성분이 끝나면 묘소 앞에 영좌를 모시고 간소하게 제수를 차린 뒤 고인의 명복을 빌고 영혼 위로하는 제사를 올린다. 화장을 했을 경우에는 영좌를 유골함으로 대신하여 제를 올립니다.
축문 : 전통방식 과 현대식이 있음

현대식 축문인 경우
01.년 월 일 (00)는 (아버님) 영전에 삼가 고하나이다. 오늘 이 곳에 유택을 마련하였으니 고이 잠드시고 길이 명복을 누리소서
02.년 월 일 남편(00)은 당신의 영앞에 고합니다. 이 곳에 유택을 마련하였으니 고이 잠드소서 길이 명복을 누리소서
반우제
(返虞)
장지에서 위령제가 끝나면 상제들은 신위를 모시고 집으로 돌아와 그 날 영혼을 집에 맞아 들이는 의식이며, 이를 반우제 또는 초우(初虞)라고도 합니다.
반우제는 제물을 생략하고 배례나 묵도로 대신하여도 되고 이로써 삼일 장례는 끝나게 됩니다.